감성만으로 유지되지 않는 일들 (2025.01.26)
오늘날 “갬성”이라는 말이 유행합니다. 하지만 ‘4영리’는 신앙생활의 순서를 ‘진리 – 이성 –...
지난주, 저는 ‘골리앗’을 하나님을 대적하는 ‘세상 문화’에 비유했는데, 구체적으로 무엇이 문제인지 묻는 질문을 받았습니다. 그 순간, 최근 읽은 노벨 문학상 수상작 ‘채식주의자’가 떠올랐습니다. 이 소설은 문학적으로 매우 뛰어나고 깊이 있는 통찰을 담고 있지만, 읽는 내내 마음이 답답하고 고통스러웠습니다.
채식주의라는 개인적 선택은 존중받아야 마땅하지만, 이 작품은 불륜과 음란을 예술과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미화합니다. 소설의 1부에서는 채식주의자 아내를 둔 남편이 처형과의 성관계를 갈망하는 장면이 복선으로 등장합니다. 섬뜩함을 느꼈지만, 아니나 다를까 2부에서는 형부가 예술이라는 명목으로 처제를 성적으로 유린합니다. 알몸에 그림을 그리는 행위가 예술로 포장되며, 결국 불륜 성관계로 이어집니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해설 부분에서, ‘이웃을 사랑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형부와 처제의 성관계를 진정한 사랑이라고 암시하는 것입니다. 불륜과 근친상간이 어떻게 이웃 사랑이 될 까요? 진정한 사랑은 혼인 서약 안에서 순결이 지켜지는 가족들 사이에서 피어나는 것이 아닐까요? 노벨 문학상을 받은 작품을 두고 좌우 정치 진영은 쓸데없는 다툼에만 매달립니다. 정치적 이념과 상관없이, 불륜과 음란을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정당화하고 윤리를 파괴하는 이런 흐름이 노벨상을 받는 비결이라면, 차라리 상을 받지 못하는 작품들이 더 가치 있겠습니다.
오랜 동안 문학과 대중 매체는 왜곡된 성혁명을 사랑으로 미화해 왔고, 그 결과 한국 사회는 음란과 불륜이 일상화되고 말았습니다. 사실, 노벨 문학상이 제정되기 전에도 ‘주홍글씨’ 같은 작품들이 문학으로 인정받아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있었습니다. 문학은 ‘죄와 벌’이나 ‘카라마조프네 형제들’처럼 독자들을 성숙하게 이끌어야 한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사도 바울은 마음 아파하며 이렇게 외칩니다.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마음을 새롭게 하여 변화를 받으라. 그러면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할 수 있으리라.” (로마서 12:2)
The World Culture That Has Become a Goliath
Last week, I compared ‘Goliath’ to the ‘world culture’ that stands in opposition to God, and I was asked what exactly is problematic about it. In that moment, I was reminded of the recent Nobel Prize-winning novel The Vegetarian. While this novel is undoubtedly a literary achievement with profound insights, I found myself feeling increasingly uncomfortable and distressed as I read it.
Although personal choices like vegetarianism should be respected, this novel glorifies adultery and immorality under the guise of art and love. In the first part of the novel, the husband of the vegetarian wife is shown longing for a sexual relationship with his sister-in-law, which is a disturbing foreshadowing. As the story progresses, the second part reveals the brother-in-law sexually exploiting his vegetarian sister-in-law under the pretext of art. Nude body painting is framed as art, eventually leading to an adulterous affair. What’s even more shocking is that, in the novel’s commentary, the question of “Can you love your neighbor?” is used to imply that the sexual relationship between the brother-in-law and sister-in-law is true love. How could adultery and incest ever be considered love for one’s neighbor? Isn’t true love found in the purity shared within a family united by the covenant of marriage? Instead of addressing these concerns, political factions on both the left and the right waste time on pointless arguments about such works. Regardless of political ideologies, if winning the Nobel Prize means justifying adultery and immorality in the name of love and thereby destroying ethics, perhaps works that don’t win the prize are more valuable.
For a long time, literature and the media have romanticized distorted sexual revolutions as love, and as a result, Korea today is awash with promiscuity and infidelity. In fact, even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there were voices claiming that works like The Scarlet Letter should not have been recognized as literature. This stems from the belief that literature should guide readers toward maturity, as seen in works like Crime and Punishment or The Brothers Karamazov. With a grieving heart, the Apostle Paul cried out, “Do not conform to the pattern of this world, but be transformed by the renewing of your mind. Then you will be able to test and approve what God’s will is—His good, pleasing, and perfect will.” (Romans 12:2)